4위. 근무 중 000 이해 못하면 꼰대?
근무 중 이어폰 착용하고 근무 가능해?? 근무 중 이어폰 착용은 소통 차단 의지를 표출!
온라인 커뮤니티 곳곳 이 주제만 등장하면! 100분 토론만큼 열띤 논쟁이 발생.
근무 중 이어폰 착용을 이해한다는 사람들의 의견은?
대체로 이어폰과 업무는 상관없다. 어느 정도 이해되는 근무 중 이어폰 착용 이해 찬성 의견. 반면 근무 중 이어폰 착용 이해 불가 사람들의 의견은?!
소통의 문제를 지적, 근무 중 이어폰 착용 논쟁의 또 다른 논란.
꼰대 논쟁까지 논란에 논란으로 지속! 근무 중 이어폰 이해 불가가 꼰대라는 사람들의 주장은?
저는 이어폰 사용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팽팽하게 논란중인데 과도한 비난과 토론은 엄연히 다릅니다.
한편 근무 중 이어폰 사용을 두고 무조건 맞다 아니다 대신, 회사 업종과 분위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하죠.
근무 중 이어폰 논쟁,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3위 상사 깨톡에 000로 답한 신입 사원?!
직장인 커뮤니티에 올라와 논란의 불을 지폈던 사연!! 신입 사원에게 업무 관련 내용을 깨톡으로 전달한 전 부장.
원래라면 깨톡~올려야 할 휴대폰이 조용했는데 이에 다시 깨톡을 확인해 본 전 부장은 너무도 당황했다고 해요.
하지만 속 좁아 보일거 같아서 입을 다물 수밖에 없었다는데? 엄밀히 따지면 신입 사원은 전 부장의 깨톡 메시지에 답을 하긴 했었다!
하트는 무엇? 깨톡 메시지에 답장하는 대신 하느, 좋아요, 체크, 웃음, 놀람, 슬픔을 뜻하는 작은 이모티콘 표시로 리액션을 할 수 있는 기능이죠.
깨톡 하트 리액션 논란에 대한 누리꾼들의 의견도 다양하다고 해요.
하트로 답한 신입사원을 옹호!
다양한 의견을 제시, 업무용 메신저를 별도로 두는 게 번거롭다는 의견도 존재하죠. 깨톡 업무가 보편화된 요즘, 답장대체로 하트등의 리액션 기능을 두고 양측의 입장이 엇갈리는 중. 그 어느 쪽도 맞다~ 틀리다 하기엔 애매한 문제죠.
일단은 각자의 입장에서 서로를 좀 더 이해해 보자고요.
2위 꼰대와 멋진 상사 사이.
직장인들 사이에서 논란이 된 회사원 A 씨의 실제 사연.
A씨가 인터넷에 공개한 나를 헷갈리게 하는 팀장의 행동들!!
아랫사람이 먼저 인사 안 하면 교육 못 받았다며 면박을 하고 팀장 사전에 6시 칼퇴란 없다!
직장인들이라면 힘든 오전 근무를 마치고 점심시간이라도 가끔은 혼자 있고 싶다고하면
절대 혼밥 타임 불가!!
네버엔딩 자랑 타임과 회의 빨리 끝내는 방법 도입이 간절하다고 해요. 길어도 너~무 긴 회의.
회식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데 이런 팀장 꼰대다 아니다?! 하지만 사람은 좋다고 한 회사원 A 씨.
그런데 회사원 A 씨를 헷갈리게 하는 팀장의 또 다른 행동!
회식은 9시 전에 끝!! 나름 워라밸 보장!! 점심시간에 병원이나 은행을 간다고 하면?
게다가 팀원들 경조사 올 출석! 직장인들이 눈치 보고 사용하는 연차도 쿨하게 허가! A 씨의 팀장은 꼰대가 아니다?!
A씨의 사연을 들은 누리꾼들의 반응.
누구나 꼰대가 됩니다. 하지만 좋은 꼰대와 나쁜 꼰대는 종이 한 장 차이라는 것.
1위 이제는 대세? 비혼 축의금 논쟁!
2022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글. 비혼주의자가 친구들에게 비혼식 청접장을 발송합니다. 그리고 비혼 축의금을 요구합니다.
평생 축의금으로 쓰는 돈만 해도 어마무시하죠. 그런데 결혼 안 하는 사람은 평생 못 받아!
비혼 인구가 많아지면서 떠오른 새로운 논쟁, 비혼주의자들의 축의금 회수 문제, 비혼 친구를 옹호하는 입장의 의견?
반대입장에 따르면
팽팽하게 맞서는 의견들!!
최근 누리꾼들 사이 갑론을박이 뜨거운 비혼 축의금 문제인데 직장인의 경우 사내 복지와도 연결된 부분이고 일부 주장은 기혼 직원 복지 혜택, 비혼 직원들에겐 역차별이라고. 최근 국내 주요 대기업 중심으로 복지 문화가 달라지고 있는데 결혼시 중복 지급이 안되고 미혼 및 비혼 선언 직원에게도 경조금과 유급 휴가를 지급한다고해요.
기혼자와의 복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들.
비혼 인구가 점점 늘어는 추세잖아요. 결혼으로 인한 복지 혜택의 차별 방지 노력, 비혼자들의 권리에 대한 의견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해요.
한국, 중국, 일본 및 일부 동남 아시아 등 아시아권에서만 있는 축의금 문화. 한국의 또 다른 축의금 논란이 있는데,
축의금과 관련된 다양한 논란!
복잡미묘한 축의금 문제, 돈이 얽힌 만큼 단순히 치부하기엔 어려운 문제에요. 결혼식을 치르고 나면 겪게 되는 경험 중 하나죠. 나도 모르게 축의 금액을 비교하기 마련이죠. 그만큼 단순하게 생각하기 어려운 축의금 문제.
달라지는 사회 현상에 조금씩 변화하는 문화, 비혼 축의금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처: 프리한19.
댓글